본문 바로가기

횟집 완두콩? 풋콩과 완두의 차이점과 특징

by 왜죠? 2023. 5. 20.
반응형

오늘의 주제

횟집 완두콩? 풋콩과 완두의 차이점과 특징

횟집 완두콩? 풋콩과 완두의 차이점과 특징

풋콩과 완두콩은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콩이지만, 매우 헷갈리게 생겼다.

나의 경우 뿐만이 아니라 나무위키에서도 '횟집에서 반찬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대체로 그것은 풋콩이다', '한국에서는 흔히 자숙대두라고도 불리는 듯하다. 완두나 풋콩을 검색하는 것보다 이쪽을 검색하는 게 빠르다'라고 소개하고 있다.

심지어 풋콩은 '자숙대두'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린다.

 

며칠 전에 우연히 횟집에 갔다가 이게 완두콩인지 자숙콩인지 논란이 생겨 인터넷을 찾아봤지만,

적당한 정보가 없어 자문자답의 글을 쓰고 있다.


<정의>

[완두]

한국어 : 완두, 완두콩
영어 : Pea, Green Peas

 완두는 이미 단어 자체에 콩이라는 뜻이 2번 포함되어 있다, 결국 '콩콩'이라는 뜻. 보통 완두콩이라 부르는데, 이렇게 부르면 '콩콩콩'이라는 뜻이 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완'이라고만 부른다고 한다.

완두 (출처 : pixabay)완두 (출처 : pixabay) 2
완두 (출처 : pixabay)

 


 

 

국내산 햇 껍질 완두콩 2kg

COUPANG

www.coupang.com


 

[풋콩]

한국어 : 자숙대두, 풋콩, 청태콩, 왜콩
영어 : Edamame, green soybean

 완전히 성숙되지 않은 상태로 익을수록 노란빛을 띠고 알은 점점 단단해진다. 보통 일식집이나 횟집에 가면 나오는 길쭉한 형태의 콩이다. 맥주 마실 때 술안주로도 자주 먹는 바로 그 콩. 일본에서는 술집 등에서 기본 안주(오토시)로 자주 나온다.

풋콩 (출처 : pixabay) 2풋콩 (출처 : pixabay)
풋콩 (출처 : pixabay)

출처 : 나무위키


<비교>

1. 외관적인 차이점

자숙콩 흰색이나 연한 황색을 가진 작은 크기이며, 일반적으로 둥글고 부드러운 모양을 가지고 껍질이 얇다.
완두콩 붉은 색깔을 가지며 자숙콩보다 크고 둥근 모양을 가졌으며, 껍질이 두껍고 단단합다.

 

2. 식재료로의 활용

자숙콩 주로 새콤한 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샐러드, 파스타, 수프, 죽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콩 스프나 콩 요리에도 자주 사용된다. 횟집에서 나온 반찬과 포케 등 다양한 음식에서 볼 수 있다
완두콩 붉은 색깔을 가지며 자숙콩보다 크고 둥근 모양을 가졌으며, 껍질이 두껍고 단단합다.


3. 영양성분

자숙콩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B, 철분, 칼륨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다.
단백질은 근육의 구성 요소로 중요하며, 식이섬유는 소화와 변비 예방에 도움을 준다.
완두콩 완두콩 또한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B, 철분, 칼륨 등이 풍부하며, 특히 단백질 함량이 높은편이다. 
아울러, 완두콩은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천연 혈당 조절제로 알려져 있다.


4. 재배 및 생산

자숙콩 주로 식용으로 재배되며, 전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고 생산되고 있다.
다양한 기후와 토양 조건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완두콩 주로 디저트나 과자류 원료로 사용되어 로 재배가 주로 이루어진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소비되고 생산됩니다.

 


 

 

냉동 자숙 풋콩 500g

COUPANG

www.coupang.com


 

추가

 콩은 그렇게 저칼로리 식품이 아니다. 단지 고단백인 데다가 영양이 풍부하고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이 좋기 때문에 다이어트 식으로 자주 찾을 뿐. 잘 짜인 식단에 콩이 들어가는 건 좋지만 많이 먹다간 오히려 살만 뒤룩뒤룩 찐다.

(출처 : 나무위키) 라고 쓰여있으니 앞으로 적당히 먹어야겠다 하하-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